본문 바로가기

CRS83

한달만에 올리는 수조 현황 정말 오랜만에 CRS 현황을 올려본다.. 학교가 드디어 방학을 했다. 원래 방학은 한참전이지만 과 특성상... 뭐 굳이 뭐했는지 말한다면.. 위와 같은 것을 했다.. 발표회 같은거다. 근황은... 지난 포스팅에서 올렸던 치새우들의 생존율이 급격히 하락했다. 성비랑 중비애들은 괜찮은데 치새우들이 모두 증발해버렸다. 기대되었던 극상급의 치새우...ㅠㅠㅠ; 녹을 정도의 크기들은 아니었는데 씁쓸하다.. 중비애들은 잘 크고있다. 포스팅에서 드러나지않았지만 방란을 중간에 한번해서 그 치새우도 많았었는데... 수가 많이줄었다. 사진에서만 봐도 지렁이가 많음을 알수있고... 위 사진만 봐도 삿갓조개물벼룩이 얼마나 폭번하는지 알수있다. 대략 보면.. 블루 생이류들은 생존률이 거의 100%에 육박해서 수조 전체를 점령하며.. 2014. 12. 22.
CRS 현황! CRS 현황 1. 나머지 다 방란하고 엄청난 수를 가진 암컷하나 남음.. 언제 방란하는지 모르겠네요. 2. 치새우 일주일이상지났는데 20마리이상으로 건강함.. 하나 문제가 있다면... 지난 수조 리셋의 이유인 조개물벼룩의 폭번이 진행중이라는거.. 분명히 내가 이 수조.. 할때 한마리까지 다 잡아죽인거로아는데.. 아마도 '마스터 소일' 자체에 이놈들의 씨앗이있는 모양이다. 끝. 2014. 11. 7.
CRS 수조 근황 치새우가 몇마리있고, 방란임박 새우 두마리~ 원래 임신새우 네마리였던걸로 분명히 기억하는데.. 찾아보니까 지금 방란임박한 두마리 새우말고는 없다. 한마리씩 죽곤했는데.. 설마..? 치새우는 한번에보이는게 4마리정도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10마리내외일것이라 생각된다. 그도 그럴게 처음 포란했던 CRS는 알을 적게달고있었기 때문에.. 하지만 이번에 방란임박한 두마리는 알이 꽤있기때문에 많은 수의 치새우를 기대해도 좋을것이다. 남은 새우는 겨우 10마리를 넘길정도의 새우뿐이다. 꽤 시간이 지나긴했지만.. 많이죽었다. 특징적인것은 많은 새우들이 성장을 멈추고 죽어버렸다는사실이다. 몇달이되어서도 준성비크기도 되지못하고 유전적 결함으로 죽어간 모양이다. 놀라운 사실은 갓난 치새우급의 파란 생이류 세마리가 CRS분양받을때 딸려왔었는데.. 한놈이 폭풍성장해서 .. 2014. 10. 25.
방수폰 소니 엑스페리아 Z2로 수조 수중촬영 촬영하기~! 엑스페리아 z2는 방수폰입니다. 생활방수를 넘어서 물속에 들어가거나, 샤워를 할때도 사용할수있는 스마트폰이죠. 그래서 비오는 날에도 절대 걱정이없는데요.. 폰이 좀 더러워 졌다 싶으면 물로 샤워시키는건 기본이죠. 물론 모든 구멍이 다 막혔는지 확인은 하고요 ㅎㅎ; 카메라로 수조를 촬영하다보니 조금 힘든게.. 수조벽에서 각도를 틀어서 찍으면 유리의 굴절인지.. 물의 굴절인지 초점이 안맞는 사진이 나와버립니다. 그래서 한번 실험 삼아서 저의 스마트폰 엑스페리아 z2를 수조속에 넣어서 사진을 몇장 찍어보았습니다!! 카메라로 수조외부에서 이 각도로 찍으면 초점이 모두 어긋나있는 사진만 얻을수있는데, 그래도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화질은 그래도 초점이 맞은곳은 확인할수있네요. 위 사진이 바로 치새우입니다. 태어난지 .. 2014. 10. 24.
CRS 수조 상황 여름은 완전히 지나갔다. CRS의 폭번의 계절인데.. 안타깝게도 못본사이 세마리가죽음.. 성장이 거의멈춘애들인거같긴한데.. 다시세어보니 16마리정도남은듯하고, 포란개체는 안죽음 혹시몰라서 30%정도환수 모스류는 특이한게 키우기는 쉬운데 크고나서 관리가안되어 갈변한다. 오래만에 먹이주니 여럿모여나와 먹는다. 첫 치비는 10월 중순이후에나볼듯한데.. 2014. 10. 12.
현재 CRS 수조 상황 양호!~ 준모스라를 입양한지... 일주일이 되어간다. 수조 물돌린지는 한달넘었고.. 수조내 개체들 활동량만 봐도 지금 수질이 어떨지는 대충 짐작은갔었는데.. 준모가 아닌 기존개체가 한마리 죽어서 수질테스트 한번 해봤다. 아래 사진의 좌측부터 아질산, 암모니아, 질산염 순이다. 모르시는분들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 가장 강력한 독성물질인 암모니아가 미생물에의해 분해되면 아질산이되고 또 분해되면 최종산물인 질산염이된다. 암모니아->아질산->질산염 박테리아가 수조에서 내뿜는 이들 독성물질을 모두 분해할정도가 되어야 수조가 물이잡혔다고 말할수있다. 하지만, 질산염은 수초의 소비를 통해서 사라진다. 유경수초가 질산염을 많이소비한다고하는데.. 내 수조의 질산염은 누가 소비하는걸까 ㅡ.ㅡ;; 모스류도 소비하긴하겠지.. 테스.. 2014. 9. 2.
CRS 준모스라로 입양... 마침 어떤분이 준모스라를 저렴하게 분양해서 샵에서 A등급값주고 20마리를 입양했습니다! 매우 저렴해서 발색등은 기대하지않습니다 ㅠ.ㅠ.. 막 투입하고보니 발색이 돌아와도 눈에 찰정도는 아니겠네요. 하지만 높은등급(?)에 그냥 만족하고 가을~봄동안 잘 키워봐야겠습니다. 이번 투입은 측정결과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수치가 모두 정상으로 나왔기에 이루어졌습니다. 무리한 투입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존 완전성비 2마리와 이제 막 성비되어가는 몇마리 합해서 기존 수조에 10마리정도있었고, 이번 투입으로 총 30마리입니다. 당분간 수조상태를 유의깊게봐서 문제가 없도록할 예정입니다. 2014. 8. 27.
CRS 수조 리셋후 현황 어느덧 리셋한지 한달이 되어간다.. 내가 잡았던 수많은 치새우들과 포란했던 새우들 ㅜㅜ... 지난 이야기를 하면.. 새우들이 누워서 발길질만하고 일어서지를 못했다. 나는 지난 수조 측정에서 마스터소일이 우수한 암모니아 억제를 보여줬으므로.. 이번에도 문제가없을것이라고 수질측정을 실시하지않았다. 귀찮아서여서 그런것도있다. 그런데 놈들이 다 같은 증상으로 누워서 발길질만 하고있었다.. 나는 가망이없다고 판단하고 포란한 한 녀석까지 안락사 시켜주었다. 그러다가 성비가 11마리정도 그렇게되어서 내가 보내버렸다.. 도저히 안되겠다싶어 수질을 측정하니, 수질오염지표인 암모니아, 아질산 수치가 사상최고치가 나왔다. 지난 수조 측정에서는 쭉 암모니아가 노란색이었는데 엄청 짙은 초록색이 나온것이다. 나는 급하게 최근에 .. 2014. 8. 26.